카테고리 없음
은수 테마
관리자..
2013. 10. 17. 13:48
봄날은 간다 은수 테마를 찾아서 올리려고 했는데 유튜브에 없는 듯 하다.
그냥 음악이나 이렇게 듣다가 가는 거지.
거지 같아 ㅎㅎ
빌 필립스 관련해서 소개했던 강의 한 번 더 들었다 내용이 좀 가물가물해서. 곧 보완하겠음 아래 포스트.
시간이 점점 흘러갈 수록 낭만적인 사랑에 마음은 더 설레인다. 점점 더 있을법하게 느껴지 않는 그 만큼 더, 만약에 우리가 언젠간.. 하며 그 때는 어떤 말을 해야 하나 미리 궁리를 한다, 그런 일 주일 이었다.
---
이코노미스트 포드캐스트에서 간단하게 이번에 경제학상 받은 세 명 업적 소개.
쉴러 교수는 버블을 예측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그보단 보다 이론적인 기여에 대해 수여하는 식이었다고 한다. 자산 시장에 오버 프라이싱이 있냐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라는데 그게 그리고 버블에 대한 이론이지. 두 번째 수상자에 대한 내용이 흥미로운데, 다시 들어봐야겠는데, 쉴러 교수와 이론적으로 입장이 대척되는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자산 가치 평가 이론의 발전에 대해 줬다고 보면 되는 건가.
세 번째 수상자는 보다 수리적인 기여에 대해 받았다고 하며 자세히 언급하진 않았다.
부동산 등 상품에 대해 왜 오버프라이싱이 일어나는지 잠깐 얘기했음. 언뜻 듣기엔 가격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이유를 이 상품 가격 상승 예측이 있으면 소비자들이 오히려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는 것 언급한 듯 한데,
아 왜 이리 듯한데가 많아.. 감이 없다...
그냥 하고 싶었던 얘기는, 한국에서도 거품 논쟁 있을 때 왜 부동산은 가격에 의한 수요와 공급의 조정이 일어나지 않는지 놓고 토론이 많았는데 내가 기억하기엔 그걸 수요 공급 곡선의 모양이 다르다 그런 식으로 해설하려는 시도가 양 쪽 입장 모두에서 있었던 것 같은데 - C모 교수와 지궁교수의 대학원 내 세미나 등에서 그랬음, C 교수는 수요 곡선 끝이 꼬부라졌다고 했고 지궁 교수는 곡선이 상방 이동한다고 했던 걸로 기억 - 근데 이에 대해 실러 교수가 한 설명이 한 꺼풀 더 깔끔했던 듯 하다. 여튼 미국에서도 비주류 의견이었던 버블에 대한 이론이었기에 이런 부분에 대해선 제국 중심부에 있지 않아도 실력이 있으면 오히려 더 앞설 수도 있는 거 아닐까 그런 생각했음..
이코노미스트는 포드캐스트를 웹으론 공개하지 않아 메타 사이트 링크로 대체
Listen To This Podcast (Streaming Audio)
그냥 음악이나 이렇게 듣다가 가는 거지.
거지 같아 ㅎㅎ
There was not even any sound..
빌 필립스 관련해서 소개했던 강의 한 번 더 들었다 내용이 좀 가물가물해서. 곧 보완하겠음 아래 포스트.
시간이 점점 흘러갈 수록 낭만적인 사랑에 마음은 더 설레인다. 점점 더 있을법하게 느껴지 않는 그 만큼 더, 만약에 우리가 언젠간.. 하며 그 때는 어떤 말을 해야 하나 미리 궁리를 한다, 그런 일 주일 이었다.
---
이코노미스트 포드캐스트에서 간단하게 이번에 경제학상 받은 세 명 업적 소개.
쉴러 교수는 버블을 예측한 것으로 유명하지만 그보단 보다 이론적인 기여에 대해 수여하는 식이었다고 한다. 자산 시장에 오버 프라이싱이 있냐에 대한 이론적인 논의라는데 그게 그리고 버블에 대한 이론이지. 두 번째 수상자에 대한 내용이 흥미로운데, 다시 들어봐야겠는데, 쉴러 교수와 이론적으로 입장이 대척되는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자산 가치 평가 이론의 발전에 대해 줬다고 보면 되는 건가.
세 번째 수상자는 보다 수리적인 기여에 대해 받았다고 하며 자세히 언급하진 않았다.
부동산 등 상품에 대해 왜 오버프라이싱이 일어나는지 잠깐 얘기했음. 언뜻 듣기엔 가격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지 않는 이유를 이 상품 가격 상승 예측이 있으면 소비자들이 오히려 투자 목적으로 구매하는 것 언급한 듯 한데,
아 왜 이리 듯한데가 많아.. 감이 없다...
그냥 하고 싶었던 얘기는, 한국에서도 거품 논쟁 있을 때 왜 부동산은 가격에 의한 수요와 공급의 조정이 일어나지 않는지 놓고 토론이 많았는데 내가 기억하기엔 그걸 수요 공급 곡선의 모양이 다르다 그런 식으로 해설하려는 시도가 양 쪽 입장 모두에서 있었던 것 같은데 - C모 교수와 지궁교수의 대학원 내 세미나 등에서 그랬음, C 교수는 수요 곡선 끝이 꼬부라졌다고 했고 지궁 교수는 곡선이 상방 이동한다고 했던 걸로 기억 - 근데 이에 대해 실러 교수가 한 설명이 한 꺼풀 더 깔끔했던 듯 하다. 여튼 미국에서도 비주류 의견이었던 버블에 대한 이론이었기에 이런 부분에 대해선 제국 중심부에 있지 않아도 실력이 있으면 오히려 더 앞설 수도 있는 거 아닐까 그런 생각했음..
이코노미스트는 포드캐스트를 웹으론 공개하지 않아 메타 사이트 링크로 대체
Listen To This Podcast (Streaming Au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