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젠
그리고 엄청 바쁘고 큰 하루.
오늘도 채팅 창 정신 없음@_@
아아
졸업 하기 싫으니?
라 물었다.
--
다음 주는 내내 시계열 분석 워크샵에 조교로 참석하게 됐다. 홀거 랑에님 오셔서 강의하고 과제 하는 데 2년 전 생각도 나고, 그 때 실습했던 걸 랑에님이 기억하셔서 괜히 민망했음.
새로 나온 ssa 논문 있어서 그것을 2년 전 내용에 새로 추가, 대충 2d-ssa 라서 공간적인 것도 뭐 본다는데 논문을 읽어봐야 하겠음..
그리고 k-noise 란 것 또 새로 추가 됐는데, 정보량 재는 측도 하나 새로 추가했다고 생각하면 깔끔할 듯. 이 측도의 장점은 디터미니스틱 카오스와 스토캐스틱 프로세스를 정확히 분리할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함. 장점이라기 보단, 응용 분야. 파워 스펙트럼에서 컬러 노이즈- 베타 값이랑도 관련 시킬 수 있고, 학생들 과제 하는 중에 그런 내용을 같이 할 수 있음 좋겠다고 하시는데, 과연.. 모르겠다. 몇 명은 정말 잘 하고, 열심히 하는 애들 있지만 나머지는 다들 다음 주 내내 토일링 하겠지.. 토요일 까지 토일링..
다음 주는 논문 많이는 못 하겠다. 뭐.. 저녁 때 열심히 음.
Felipe Olivares, Angelo Plastino, Osvaldo A. Rosso, Contrasting chaos with noise via local versus global information quantifiers, Physics Letters A, Volume 376, Issue 19, 9 April 2012, Pages 1577-1583, ISSN 0375-9601, http://dx.doi.org/10.1016/j.physleta.2012.03.039.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75960112003441)
Distinguishing Noise from Chaos
Received 15 June 2007; published 12 October 2007
Chaotic systems share with stochastic processes several properties that make them almost undistinguishable. In this communication we introduce a representation space, to be called the complexity-entropy causality plane. Its horizontal and vertical axis are suitable functionals of the pertinent probability distribution, namely, the entropy of the system and an appropriate statistical complexity measure, respectively. These two functionals are evaluated using the Bandt-Pompe recipe to assign a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 to the time series generated by the system. Several well-known model-generated time series, usually regarded as being of either stochastic or chaotic nature, are analyzed so as to illustrate the approach. The main achievement of this communication is the possibility of clearly distinguishing between them in our representation space, something that is rather difficult otherwise.
© 2007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